지역별 산행/파

지역명산 [NO.63 경기 평택시] - 부락산에서 팔용산까지

산물강 2012. 1. 15. 20:29
반응형

지역명산 [NO.63 경기 평택시] - 부락산에서 팔용산까지     

 

    

▣ 경기 평택시

면적 : 453.31㎢, 3읍 6면 13동의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한 시

○ 동쪽의 용인시, 안성시, 서쪽의 아산만, 남쪽의 충남 아산시, 충남 천안시, 북쪽의 화성시와 접하고 있다.

○ 심복사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565호), 만기사철조여래좌상(보물 567호), 원릉군원균선무공신교서(보물 1133호), 

○ 볼거리 : 농업 박물관, 자연테마 식물원, 진위천 시민유원지, 송탄관광특구, 평택호관광단지, 평택항

○ 관내 산 : 덕지산, 무성산, 오봉산, 무봉산, 덕암산, 팔용산, 봉화재, 승배산, 옥녀봉, 백운산, 마안산, 고등산, 부용산, 계두봉(왕좌산), 부락산

○ 추천 산 : 부락산(불악산), 덕암산, 팔용산

○ 답사한 산 : 부락산(불악산), 덕암산, 팔용산, 덕지산(명봉산), 계두봉(왕좌산)

○ 지역 명산 : 부락산 - 가족

 

  

▣ 지역여행 기록

○ 누계 여행 횟수 : 2회(230시군구중 35시군구)

○ 누계 여행 지역 : 경기 양주시, 경기 평택시

 누계 이동 거리 : 269.3km(누계 6,589.2km)

○ 누계 여행 시간 : 12시간 15분(누계 11일 14시간 40분)

○ 누계 산행 시간 : 6시간 26분(누계 04일 01시간 27분)   

○ 누계 도상 거리 : 16.2km(누계 181.6km)

○ 누계 여행 경비 : 55,880원(누계 1,495,865원)

 

 

▣ 특징

○ 부락산(불악산)

송탄 지역주민이 사랑하는 나즈막한 산으로 공원등이 조성되어 있어 가족 산행지로 좋다.

○ 덕암산

아흔아홉 골짜기가 있으며 공짜기마다 아흔아홉개의 마을이 있다는 덕암산 부락산과 연계해서 산행하면 좋다.

○ 팔용산

안성시 원곡면과 경계에 있는 산으로 나즈막한 산이다.

 

  부락산 정상석

  덕암산 정상석

 

▣ 여행 일지 - 2 회차 ( 총 277 회차 ) 여행

○ 여  행  지 : 부락산~팔용산 

○ 여행 방법 : 홀로산행

○ 여행 위치 : 경기 평택시 이충동, 도일동, 안성시 원곡면

○ 여행 일시 : 2012년 01월 15일(일) 날씨 맑음

○ 동  행  인 : 홀로

○ 이동 수단 : 자가용 (주행 거리 : 212KM), 택시 (원곡면사무소~부락종합사회복지관 택시비 8,000원)

○ 여행 경비 : 47,249원 

○ 집나간 시간 : 06시 45분 출발, 15시 02분 도착 (8시간 17분)

○ 여행 시간 : 08시 42분 출발, 12시 50분 도착 (4시간 08분)

○ 주요 소요 시간 : 부락종합사회복지관 (08:42) → 부락산 정상 (09:10) → 덕암산 정상 (10:16) → 팔용산 정상 (12:26)원곡면사무소 (12:50)

○ 여행 경로 : 부락종합사회복지관 - 부락정 - 1호산불감시초소 - 부락산 - 흔치휴게소 - 동물이동통로 - 덕암산 - 부엉바위 갈림길 - 부엉바위 -

                     부엉바위 갈림길 - 팔용산 - 원곡초교 - 원곡면사무소

 

 

○ 도상 거리 : 대충 10.8KM

○ 주요 여행지 : 부락산(불악산)(150.5M), 덕암산(164.5M), 팔용산(122.2M)

○ 여행 요점 : 1. 만족도 : ★★☆☆☆

                     2. 지역여행 35번째 경기 평택시편으로 미답사 지역인 부락산로 결정.

                     3. 등산로는 전체적으로 임도길 수준임(덕암산에서 원곡초교까지는 자연적인 산길이나 등산로는 뚜렷함.)

                     4. 부락산 : 정상석 - 있음, 조망 - 하, 등산로 - 양호, 난이도 - 하, 기타 - 정상에 산불감시초소와 운동기구가  있음

                     5. 덕암산 : 정상석 - 있음, 조망 - 하, 등산로 - 양호, 난이도 - 하, 기타 - 정상에 삼각점 및 큰바위가 있음

                     6. 팔용산 : 정상석 - 없음, 조망 - 하, 등산로 - 보통, 난이도 - 하, 기타 - 나무에 그네를 설치된 곳이 정상으로 생각됨

                         (지도에는 삼각점이 있는 곳이 정상으로 표기됨)

                                                                                                                   

▣ 여행 흔적 남기기

1. 부락산~팔용산

부락종합사회복지관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공원으로 들어서 좌측 입구엔 산행안내도가 설치된 산길로 들어선다. 부락산은 송탄지역 주민들이 많이 찾는 산답게 가벼운 차림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었다. 부락정을 지나 삼각점이 있는 봉우리 산불감시초소를 지나니 정상 직전 삼거리가 나온다. 부락산 정상은 산불감시초소와 뒷편으로 운동기구와 쉼터가 조성되어 있다. 조망은 사방이 막혀 답답하다. 임도수준의 등산로를 따라 진행하니 매점들이 있는 흔치휴게소가 나오고 건너편 나무계단으로 진행한다. 많은 사람들은 어디로 갔는지 한산해서 좋다. 동물이동통로를 지나 돌탑을 지나고 정자를 지나니 고개마루에 도착하고 계속 직진후 덕암산 정상에 선다. 덕암산 정상 또한 사방이 막혀있어 조망은 없다. 도일동 갈림길을 지나 부엉바위 갈림길이 나오고 좌측 부엉바위로 향한다. 부엉바위 표지석에서 다시 왔던 길을 되돌아 갈림길에서 원곡초교 방향으로 향한다. 무명봉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진행해야 하니 좌측으로 진행 무덤에서 다시 빽~ 팔용산으로 향한다. 나무에 그네를 만들어 논 봉우리에 도착 실질적인 팔용산 정상인 듯 한다. 점심을 간단히 해결하고 우측길로 내려서 진행 삼각점이 있는 지도상에 팔용산에 도착한다. 삼각점이 있는 팔용산은 일부 조망이 터지고 좌측길로 내려서 도로에 내려선다. 좌측 도로다라 진행하여 면사무소에서 택시를 타고 원점으로 돌아온다.                 

 

  개념도

  부곡종합사회복지관

  등산 안내도

  부락정

  부락정에서 본 전경

  삼각점이 있는 산불감시초소

  부락산 정상 모습

  부락산 정상에서

  임도길 수준의 등산로

  흔치휴게소

  덕암산으로

  동물이동통로를 지나

  산불감시초소를 지나

  현위치는?

  덕암산으로

  정자를 지나

  덕암산 정상 모습

  덕암산 삼각점

  덕암산 정상에서

  부엉바위 갈림길

  부엉바위?

  부엉바위에서

  이 무덤이 나오면 빽~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도로를 건너

  산길로

  자연적인 등산로가 좋아

  바위지대를 지나

  이곳이 팔용산 정상?

  그네도설치했네

  물류창고도 보이고

  지도상의 팔용산

  팔용산 삼각점

  팔용산 정상에서 본 전경

  팔용산 정상에서

  날머리

  좌측 도로따라

  원곡초등학교

  마을 입구에 설치된 안내판

  원곡면사무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