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산행/자

지역명산 [NO.97 충북 증평군] - 한남금북정맥 최고봉 좌구산

산물강 2011. 8. 7. 11:18
반응형

 

지역명산 [NO.97 충북 증평군] - 한남금북정맥 최고봉 좌구산   

 

   

▣ 충북 증평군

면적 : 81.84㎢, 1읍 1면의 충북 중앙부에 위치한 군

○ 동쪽의 괴산군, 서쪽의 진천군, 남쪽의 청원군, 북쪽의 음성군과 접하고 있다. 

○ 볼거리 : 도안 희귀박 터널, 삼기저수지, 좌구성, 연암저수지

○ 좌구산 자연휴양림 

○ 증평인삼골축제(9월~10월경)

○ 관내 산 : 두타산, 좌구산, 대봉산, 이성산, 삼보산(성재산), 안자산

○ 지자체 추천산 : 좌구산, 두타산, 대봉산, 이성산, 삼보산

○ 답사한 산 : 좌구산

○ 지역 명산 : 좌구산(가족 산행지)

 

  

▣ 지역여행 기록

○ 누계 여행 횟수 : 14회(230시군구중 14시군구)

○ 누계 여행 지역 : 인천 강화군, 경기 여주군, 경기 연천군, 경기 파주시, 경기 고양시, 충북 청원군, 경기 김포시, 경기 부천시, 경기 안산시, 인천 부평구,

                             인천 중구, 경기 의왕시, 충북 청주시, 충북 증평군

 누계 이동 거리 : 2,387.3km

○ 누계 여행 시간 : 4일 05시간 01분

○ 누계 산행 시간 : 1일 18시간 02분   

○ 누계 도상 거리 : 66.6km

○ 누계 여행 경비 : 556,906

 

▣ 특징

○ 좌구산

좌구산은 미원면 대덕리와 증평군 증평읍 율리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청원군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계곡을 따라 이어진 숲길에는 사람이 다닌 자취는 거의 없고 멧돼지가 헤집은 흔적만이 곳곳에 있다.
잘 뻗은 낙엽송 군락을 비록하여 다양한 활엽수가 산행을 즐기게 한다. 풀숲에는 으아리 참취가 곳곳에 군락을 이루고 대표적인 독초로 꼽히는 천남성과 부자도 자주 눈에 띄이며, 이산은 한남금북정맥 종주 구간에 포함되어 있는 산이다.

한남금북정맥의 줄기이면서 가장 높으나 날카롭지 않고 둥글둥글한 모양새를 지니고 있다. 조선 광해군 때 벼슬을 지냈던 김치(金緻)는 임금의 폭정에 시달리다 신변의 위협을 느껴 관직을 그만두고 좌구산 아래 율리에서 은둔생활을 했다. 어느 날 심기원(沈器溒)이 찾아와 능양군(인조)을 임금으로 추대하려는 반정을 꾀하던 중 좌구산에서 개 짖는 소리에 염탐꾼이 와 있다는 것을 깨닫고는 황급히 자리를 떠 목숨도 구하고 반정에도 성공할 수 있었다. 그 후로 산 이름이 앉을 ‘좌(座)’자, 개 ‘구(拘)’자를 써 좌구산이라고 불렸다.
지금은 두타산에서 보이는 좌구산의 모습이 거북이가 앉아 있는 형상과 비슷하다 하여 거북이 ‘구(龜)’자로 바꾸어 쓰고 있다. 이름과 얽힌 이야기 외에도 화원리의 새로운 왕을 기다린다는 새왕이 마을, 한국전쟁 중 미원지구 전투에서 톱밥만으로 적군의 탱크를 폭파시켰다는 13인의 특공대 이야기 등 좌구산을 둘러싼 많은 이야기가 전해진다.

 

     

▣ 여행 일지 - 26 회차 ( 총 256 회차 ) 여행

○ 여  행  지 : 좌구산

○ 여행 방법 : 홀로산행

○ 여행 위치 : 충북 증평군 증평읍, 충북 청원군 미원면

○ 여행 일시 : 2011년 08월 06일(토) 날씨 맑고 바람이 불어 시원한 날씨

○ 동  행  인 : 홀로

○ 이동 수단 : 자가용 (주행 거리 : 364KM)

○ 여행 경비 : 63,456원 (휴양림 입장료,주차비 무료) 

○ 집나간 시간 : 04시 35분 출발, 14시 11분 도착 (9시간 36분)

○ 여행 시간 : 08시 40분 출발, 11시 20분 도착 (2시간 40분)

○ 주요 소요 시간 : 좌구산휴양림 주차장 (08:40) → 정상 (10:32) → 좌구산휴양림 주차장 (11:20)

○ 여행 경로 : 좌구산휴양림 주차장 - 방고개 - 제1쉼터 - 제2쉼터 - 돌탑봉 - 정상 - 돌탑봉 - 제2쉼터 - 임도삼거리 - 체력단력지구 - 임도삼거리 - 주차장

 

 

○ 도상 거리 : 대충 4.4KM

○ 주요 여행지 : 좌구산(657.4M)  

○ 여행 요점 : 1. 만족도 : ★★☆☆☆

                     2. 지역여행 14번째 충북 증평군편으로 미답사 지역인 좌구산으로 결정.

                     3. 등산로는 비교적 뚜렷하고 정비가 잘 되어 있음.

                     4. 정상에는 이정표가 설치되어 있음.

                     5. 정상에서의 조망은 좋지 못함(북서쪽으로 일부 조망됨)

                                                                                                                                                                                                                                 

▣ 여행 흔적 남기기

1. 좌구산

좌구산 일주문을 지나 삼기저수지에서 잠시 쉬어간다. 휴양림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임도따라 관리사무소에서 좌측 임도길을 따라 방고개로 진행한다. 공사중인 좌구산천문대가 있는 방고개에 도착한다. 좌측 나무계단으로 진행 1쉼터, 2쉼터를 지나 돌탑이 있는 보우리를 지나 정상에 선다. 조망은 그리 좋지 못하다. 정상석은 어디로 갓는지 사라지고 없다. 왔던 길을 되돌아 2쉼터에서 주차장 방향으로 하산한다. 혼자 걷는 산행 호젓하기만 하다.

 

 개념도

 삼기저수지

 삼기저수지

 하늘

 휴양림 표지석

 안내판

 관리사무소

 별자리마을 방향으로

 임도따라

 임도따라

 공사중인 천문대

 방고개

 좌구산으로

 방고개

 등산로

 제1쉼터

 바위

 등산로

 하늘도 막혀있다

 제2쉼터

 돌탑봉으로

 돌탑봉

 정상 가는 길

 정상모습

 없어진 정상석

 정상에서 본 전경

 당겨본 모습

 정상에서

 제2쉼터에서 주차장으로

 하산길

 주차장으로

 임도와 만나고

 체력단력지구

 육각정자

 전경

 임도따라

 임도따라

 1쉼터에서 내려오면 만나는 길

 날머리

 삼기저수지

좌구산일주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