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새의 화왕산
억새의 화왕산
▣ 특징
○ 100대 명산, 군립공원, 한국의 산하 100인기산
○ 100대 명산 선정사유
억새밭과 진달래 군락 등 경관이 아름다우며 화왕산성, 목마산성 등이 있고 군립공원인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해마다 정월대보름이 되면 정상 일대의
억새평전에서 달맞이 행사가 열림. 정상에 화산활동으로 생긴 분화구 못(용지)이 3개 있음. 송현동 고분군 및 석불좌상, 대웅전 등 4점의 보물이 있는 관
룡사 등이 유명
○ 봄 진달래 가을 억새 향연의산
창녕읍의 진산으로 관룡산과 더불어 화왕산 군립공원을 이룬다. 화왕산 하면 억새를 떠올릴 만큼 억새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6만여평의 대평원에 십리
억새밭. 억새의 크기가 사람 키 높이를 훨씬 넘는다. 이것을 한 바퀴 도는 데 한 시간 남짓 걸린다.
가을에는 이곳에서 국내 최대의 야간축제가 벌어진다. 전국 각지에서 1만여명이 운집한 가운데 산신제와 의병추모제를 비롯, 통일기원 횃불행진을 펼
쳐 일대 장관을 이룬다. 화왕산은 진달래 명산이기도 하다. 관룡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6.5km 능선 등산로를 따라 진달래가 이어진다.
▣ 산행일지 - 41회차(총 174회차) 산행
○ 산 행 지 : 화왕산(756.6M) - 경남 창녕
○ 산행위치 : 경남 창녕군 창녕읍, 고암면
○ 산행일시 : 2009년 10월 10일(토요일) 날씨 맑음
○ 동 행 인 : 홀로
○ 이동수단 : 자가용(주행거리 : 747.7KM)
○ 경 비 : 입장료 무료, 주차비 무료
○ 여행시간 : 23시 31분 출발, 18시 40분 도착 (19시간 09분)
○ 산행시간 : 08시 24분 출발, 13시 55분 도착 (5시간 31분)
○ 주요소요시간 : 학생수련원 (08:24) → 685봉 (09:30) → 배바위 (10:35) → 화왕산 (10:58) → 관룡산 (12:22) → 학생수련원 (13:55)
○ 산행경로 : 학생수련원 - 685봉 - 723봉 - 배바위 - 화왕산 - 동문 - 허준세트장 - 관룡산 - 용선대석불 - 관룡사 - 매표소 - 옥천식당 - 학생수련원
○ 도상거리 : 대충 10.9KM
○ 산 및 봉우리 : 화왕산(756.6M), 관룡산(753M)
○ 산행요점 : 1. 정상은 정상석, 삼각점이 설치되어 있음.
2. 정상에서의 조망도 좋지만 배바위에서의 조망이 더욱 좋음.
3. 등산로는 잘 정비되어 있음.
▣ 산행후기
1. 685봉(암봉)
중부내륙고속도로를 타고 가다 창녕I/C로 빠져나와 옥천리로 향한다. 옥천식당 주변에 마땅히 차를 세울 공간이 없어 학생수련원 운동장에 차를 주차하고 산행에 나선다. 정문으로 나와 우측 도로를 따라 진행하니 포장도로 끝나는 지점 갈림길이 나오고 농수로 파이프가 보이는 좌측 숲길로 들어선다. 묘 3기를 지나 마른 계곡길로 들어선다. 산행리본이 간간이 달려있어 길 찾기에 어려움은 없다. 길은 몇 번 계곡을 건너 이어진다. 개념도엔 능선으로 붙는 좌측길이 있는데 확인 못하고 계속 직진 685봉으로 향한다. 바위지대도 지나고 커다란 뱀도 만나고 가파른 길을 올라서니 암봉인 685봉에 도착한다.
2. 화왕산
크고 작은 바위들이 한참 발길을 붙잡는다. 사진에 담고 출발한다. 화왕지맥 723M를 알리는 작은 표지판이 나오고 커다란 바위가 있는 전망터에 선다. 사방으로 막힘이 없다. 구현고개 표지판이 있는 안부를 지나니 지하골 매표소 갈림길(이정표 있음)이 나오고 배바위가 모습을 드러낸다. 산불감시초소를 지나 배바위에 선다. 잠을 설치고 온 보람이 있다. 억새밭을 지나 정상으로 향한다. 억새에 취해 천천히 진행한다. 정상에는 많은 인파로 정상에서의 흔적을 남기기가 어렵다.
3. 관룡산
흔적을 남기고 산성을 따라 진행하다 천문관측소 갈림길(이정표 있음)에서 동문 방향으로 향한다. 동문으로 내려서 임도길을 따라 진행한다. 허준 세트장을 지나 임도사거리(이정표 있음)에 도착한다. 정면 관룡사 방향으로 진행한다. 관룡산 직전 삼거리(이정표 있음)가 나오고 여기서 구룡산 방향은 청룡암 방향이다. 넓은 헬기장으로 된 관룡산에 선다. 잠시 지나온 능선 및 화왕산을 바라본다.
4. 학생수련원
나무계단으로 하산한다. 급경사 내리막을 내려서 전망터에 서니 구룡산의 암릉이 멋있게 그 자태를 드러낸다. 용선대석불을 지나 관룡사 경내를 둘러본 후 차를 회수하여 집으로 귀가한다.
개념도
학생수련원
들머리 - 좌측으로
등로
바위도 지나고
뱀도 만나고
685봉
685봉에서 본 전경
685봉에서 본 전경
685봉에서 본 전경
685봉에서 본 전경
685봉에서 본 전경
685봉에서
723봉
전망바위
전망바위에서 본 전경
전망바위에서 본 전경
전망바위에서 본 전경
전망바위에서
구현고개
배바위 가는 길에
배바위
지하곡 갈림길
배바위 가는 길에 본 화왕산
배바위 가는 길에 본 화왕산
배바위
배바위 가는 길에 본 전경
화왕산의 두얼굴
억새
억새
억새
억새
억새
억새
억새에서
배바위
배바위
곽재우장군 세숫대야
배바위에서 본 전경
배바위에서 본 전경
배바위에서 본 전경
배바위에서 본 정상
배바위에서 본 전경
억새
억새
억새
억새
억새
억새
억새
억새에서
억새에서
억새
억새
억새
억새
억새
억새
정상 가는 길에
정상 가는 길에
정상에서 본 전경
정상에서 본 전경
정상에서 본 전경
정상에서 본 전경
정상에서
산성
뒤돌아 본 정상모습
억새
억새
용지
억새
산성따라
배바위
동문
허준 세트장
고개사거리
고개사거리에 있는 등산안내도
관룡사 가는 길
관룡산 정상 직전 삼거리
관룡산 정상모습
관룡산에서 본 화왕산
나무계단으로
하산길에 본 구룡산 암릉구간
하산길에
용선대 석불
관룡사 용선대 석조석가여래좌상 - 보물 295호
용선대석불에서 본 구룡산
용선대석불에서 본 화왕산
관룡사
관룡사 대웅전 - 보물 212호
관룡사 석조여래좌상 - 보물 519호
관룡사 약사전 - 보물 146호
석장승
옥천매표소
옥천식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