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물강 2008. 12. 9. 16:51
반응형

한라산(1950M)-제주

 

□ 100명산 선정사유

 

남한에서 가장 높은 우리나라 3대 영산의 하나로 산마루에는 분화구인 백록담이 있고 1,800여종의 식물과 울창한 자연림

   등 고산식물의 보고이며 국립공원으로 지정(1970년)된 점 등을 고려하여 선정

   남한의 최고봉으로서 백록담, 탐라계곡, 안덕계곡, 왕관릉, 성판암, 천지연 등이 유명

 

□ 특징

 

- 100대 명산, 국립공원, 100인기산

한라산은 백두산, 금강산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영산으로 꼽힌다. "한라"라는 이름은 하늘의 은하수를 잡아당길 만큼 높다

   해서 붙여진 것이다. 한라산은 해발 1,950m로 남한 최고봉이면서도 사람들을 가까이하여 친숙함을 느끼게 하는 산이다.

   사계절이 뚜렷한 변화를 보이는 가운데 하루에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를보이기도 하는 신비롭고 갖가지 레저를 즐길 수

   있는 최상의 조건을 갖고 있으면서도 아직 순수한 자연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명산이 바로 한라산이다.

   산마루에는 분화구였던 백록담이 있으며 고산식물의 보고로서 식물의 종류도 무려 1,800여종이나 되어 울창한 자연림과

   더불어 광대한 초원이 장관을 이룬다. 뿐만 아니라 높은 절벽과 깎아지는 듯 한 비탈, 눈 덮힌 백록담과 백록담을 둘러싼

   화구벽, 왕관능의 위엄, 계곡 깊숙히 숨겨진 폭포들,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의 전설이 깃든 영실, 이렇듯 오묘한 모습들이

   한라산을 이루는 명소들이다.

   정상부근의 진달래 군락과 구상나무군도 한라산의 경관으로 꼽힌다. 계절별 경관으로는 봄의 철쭉, 가을의 단풍 겨울의

   설경이 유명하며 특히 500~1,300 미터에 이르는 지역에서의 수빙현상(樹氷現象)과 1300미터 이상의 구상나무 숲에서 볼

   수 있는 겨울철 한라산 경관, 그리고 백록담, 곰보바위 등의 빙판과 Y 계곡, 탐라계곡 등의 빙폭(氷爆)은 장관을 이룬다.

   한라산의 겨울은 아름답다. 고사(枯死)된지 오래된 구상나뭇가지에 피어난 눈꽃들의 기묘함을 감상하며 드넓은 설원을 걷

   는 눈 속에 잠긴 설경의 한라는 절경 중의 절경으로 꼽힌다.

 

□ 산행일지 - 113회차 산행

  

산  행 지 : 한라산(1,950M), 윗세오름(1,700M)

산행위치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귀포시

산행일시 : 2008년 06월 14일 (토요일) 날씨 맑다 흐린 후 비바람

동  행 인 : 태진아 님, 조성훈씨 

이동수단 : 자가용, 택시

경      비 : 주차비, 입장료 무료

산행시간 : 06시 25분 출발, 17시 09분 도착 (9시간 05분)

산행경로 : 성판악휴게소 - 사라대피소 - 진달래밭대피소 - 정상 - 용진각대피소 - 개미목 -관음사안내소 - 차로 이동 -

                영실휴게소 - 윗세오름대피소 - 만수동산 - 사제비동산 - 어리목관리사무소

도상거리 : 약 26.7 KM

 

산행지도

 러브랜드에서

 러브랜드에서

 러브랜드에서

 러브랜드에서

 러브랜드에서

 러브랜드에서

 용두암에서

 용두암에서

 용두암에서

 성판악 관리소에서

 진달래 대피소에서

 진달래 대피소에서

 진달래 대피소에서

 진달래 대피소에서

 정상가는 길에

 정상가는 길에

 정상가는 길에

 정상가는 길에

 정상가는 길에

 정상가는 길에

 정상가는 길에

 정상가는 길에

 정상가는 길에

 정상가는 길에

 정상가는 길에

 정상가는 길에

 정상가는 길에

 정상가는 길에

 정상가는 길에

 정상가는 길에

 백록담

 백록담

 백록담

 정상표지목

 정상표지목

 정상 안내판

 정상 모습

 정상 모습

 정상 모습

 정상 모습

 정상 모습

 정상 모습

 정상 모습

 정상에서

 정상에서

 정상에서

 정상에서

 정상에서

 정상에서

 정상에서

 정상에서

 하산길에

 하산길에

 하산길에

 하산길에

 하산길에

 하산길에

 하산길에

 안내판

 윗세오름 가는 길에 

 윗세오름 가는 길에 

윗세오름 가는 길에

 노루샘에서

 윗세오름 가는 길에

 윗세오름 가는 길에

 윗세오름에서

 윗세오름에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