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남지역 산행 23 - 겨울에 찾은 기백산
□ 기백산
○ 300대 명산, 군립공원
○ 경남 함양군 지자체 추천산 ( 기백산, 지리산, 백운산, 남덕유산, 할미봉, 황석산, 금원산, 거망산, 월봉산, 오봉산, 삼봉산, 대봉산 )
○ 기백산은 1983년 함양군이 군립공원으로 지정했으며, 옛 이름은 지우산(知雨山)이다. 기백산 자락의 거창, 안의 지역은 기백산의
날씨 변화에 따라 비가 내릴 것을 미리 알 수 있었다고 한다. 백두대간인 덕유산 능선이 무룡산, 삿갓봉, 장수덕유산으로 구비쳐오다
남덕유에서 갈라져 남동 방향으로 꺾어진 뒤 월봉산, 금원산을 일으킨 다음 거창 쪽으로 깊숙이 들어와 솟았다. 산 고스락 남쪽에
원추리와 싸리나무군락으로 이루는 기백평전이 펼쳐져 있으며 지우샘이 솟아 맞은편 황석산과 수망령에서 시작한 물줄기와 합하여
안의 지우천을 이룬다. 지우천이 흐르는 장수동은 옛 안의 삼동 가운데 하나인 심진동으로 지금은 용추사 계곡으로 더 알려져 장수사
조계문, 용추폭포, 용추사들의 명소가 널려있다. 또 기백산 안봉에서 솟기 시작한 물줄기는 고학천 용폭을 이루고 쌀다리와 용원정
명소를 간직하고 있다.
□ 여행 일지
○ 72회차 ( 총 433회차 ) 여행
○ 여행지 : 기백산
○ 여행방법 : 홀로산행
○ 여행위치 : 경남 함양군 안의면, 거창군 위천면
○ 여행일시 : 2015년 12월 26일(토) 날씨 칼바람
○ 동행인 : 홀로
○ 이동수단 : 자가용
○ 산행시간 : 07시 50분 출발, 12시 42분 도착 ( 4시간 52분 )
○ 주요소요시간 : 용추사 일주문 ( 07:50 ) → 기백산 ( 09:53 ) → 용추사 일주문 ( 12:42 )
○ 여행경로 : 용추사 일주문 - 도수골 - 쉼터 - 안부 - 기백산 - 누룩덤 - 제2누룩덤 - 전망데크 - 금원산 갈림길 - 시흥골 - 사평마을 -
용추사 - 용추폭포 - 용추사 일주문
○ 도상거리 : 대충 9.6km
○ 주요 여행지 : 기백산 ( 1,332m )
○ 여행 요점
☞ 만족도 : ★★★★☆
☞ 영남지역 산행 23번째 경남 함양군 기백산 산행 - 미답사 산행
☞ 정상
→ 넓은 공터에 돌탑, 등산 안내도, 이정표등이 설치되어 있음
→ 조망 : 상 ( 짙은 안개로 조망이 좋지 못했음 )
→ 정상석 : 유, 삼각점 : 유
☞ 등산로
→ 정비 상태 : 중
→ 난이도 : 중
☞ 들머리 : 용추사 일주문, 날머리 : 용추사 일주문
☞ 주차장 : 용추사 일주문 주차장
□ 여행 흔적 남기기
○ 어제은 가족과 함께 가까운 산행을 했으니 오늘은 멀리 가기로 한다.
예기치 못한 일들로 몇 번을 포기했던 산 오늘 드디어 기백산을 찾아 나선다.
개념도
용추사 일주문 주차장
용추사 일주문
기백산 4.2km
임도를 벗어나 산길로
들머리
초반부터 너덜지대가 시작되고
계속되는 너덜지대
지백산 3.8km
등산로
쉼터를 지나
전경
등산로
등산로
기백산 2.2km
등산로
계곡를 지나
등산로
1250고지
등산로
등산로
누룩덤이 보이고
전경
기백산 0.2km
등산로
기백산 정상이 보이고
누룩덤도 보이고
제2누룩덤과 가야할 길
전경
기백산과 누룩덤
기백산 정상 모습
기백산 정상에서
거창군 산
기백산 정상에서 본 전경
금원산 방향으로
등산로
누룩덤 우회길
누룩덤
전경
전경
전경
누룩덤
누룩덤
전경
전경
바위가 상당히 미끄럽다
제2누룩덤
전경
전경
전경
등산로
가야할 길
등산로
전경
지나온 제2누룩덤
누룩덤과 기백산
전경
전경
전망데크
전망데크에서 본 전경
등산로
좌측 사평 방향으로
등산로
등산로
전경
전경
등산로
날머리
포장도로 따라
전경
용추사
용추폭포
용추폭포
용추폭포에서
'지역별 산행 > 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하산 - 대전 유성구 (0) | 2016.02.13 |
---|---|
건흥산 - 경남 거창군 (0) | 2016.01.09 |
구봉산 - 대전 서구 (0) | 2015.11.29 |
고헌산 - 울산 울주군 (0) | 2015.11.23 |
갑장산 - 경북 상주 (0) | 2015.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