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 산행/마

마산봉 - 강원 고성

by 산물강 2015. 5. 17.
반응형

▣ 강원도 여행⑭ - 백두대간 끝자락 마산봉

 

 

□ 마산봉

 

○ 지역 명산

○ 강원 고성군 지자체 추천산 ( 마산봉울산바위 )

○ 마산은 백두대간의 남한쪽 분단이다.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과 토성면의 경계에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 끝없이 펼쳐진 바다와 함께 호수의 조망이 일품이다. 날씨가 좋을 경우 진부령에서 향로봉, 비로봉을 비롯한

    금강산 연봉까지 아슴푸레하게 볼 수 있다. 마산과 신선봉은 능선으로 바로 연결이 되있으며 신선봉은 백두대간 종주

    등산로에서 약간 동쪽으로 벗어나 있는 봉우리다. 너덜이 깔린 신선동 정상에 서면 동해와 신평벌, 설악산이 한눈에 들어온다.

    두 산을 종주 하거나 거꾸로 미시령에서 시작해서 알프스 스키장으로 하산할 수 있다.

 

 

□ 여행 일지

 

○ 29회차 ( 총 390회차 ) 여행

○ 여행지 : 마산봉

○ 여행방법 : 홀로산행

○ 여행위치 :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간성읍

○ 여행일시 : 2015년 05월 17일(일) 날씨 바람

○ 동행인 : 홀로

○ 이동수단 : 자가용 ( 주행거리 : 450.1km )

○ 여행경비 : 68,633원

○ 총여행시간 : 12시 55분 출발, 14시 59분 도착 ( 14시간 04분 )

○ 산행시간 : 08시 20분 출발, 12시 00분 도착 ( 3시간 40분 )

○ 주요소요시간 : 알프스리조트 ( 08:20 ) → 정상 ( 09:29 ) → 병풍바위 ( 09:57 ) → 알프스리조트 ( 12:00 )

○ 여행경로 : 알프스리조트 - 쉼터 - 쉼터 - 병풍바위 갈림길 - 마산봉 - 병풍바위 갈림길 - 새이령 갈림길 - 병풍바위 - 알바 -

                  병풍바위 - 새이령 갈림길 - 병풍바위 갈림길 - 쉼터 - 쉼터 - 알프스리조트

○ 도상거리 : 대충 6km

○ 주요 여행지 : 마산봉 ( 1,051.9m )

○ 여행 요점

    ☞ 만족도 : ★★★☆☆

    ☞ 강원도여행 14번째 고성군 노추산 - 미답사 구간 창암구간 산행 ( 실패 )

    ☞ 정상은 암봉에 삼각점, 나무로 만든 정상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음

    ☞ 정상에서의 조망은 매우 좋음   

    ☞ 등산로는 뚜렷하며 난이도가 높지 않음

    ☞ 주차공간 : 알프스리조트 주변

    ☞ 들머리 : 알프스리조트, 날머리 : 알프스리조트

    ☞ 병풍바위에서 새이령으로 내려가는 길을 잘못 잡아 약 35분 알바

        ( 당초 계획을 수정해서 왔던 길을 되돌아 옴 - 차 회수와 무릎 통증으로 ) 

 

 

□ 여행 흔적 남기기

 

○ 불어오는 바람이 쌀쌀하게 느껴질 정도로 몸 상태가 좋지 못하다. 그냥 돌아가기엔 너무 멀리까지 왔는데 몸이 허락하는 곳까지만

    가기로 하고 출발한다. 결국 끝을 보지 못하고 돌아서야 했다.      

 

  개념도

  폐업중인 알프스 리조트

  건너편으로

  들머리

  정상까지 1.4km

  정비된 길을 따라

  등산로

  등산로

  등산로

  예전엔 스키장이였던 곳이

  등산로

  쉼터

  만개한 철쭉

  등산로

  2번째 쉼터

  철쭉

  등산로

  등산로

  병풍바위 갈림길

  마산봉 정상 모습

  마산봉

  마산봉 정상에서

  마산봉 정상에서 본 전경

  향로봉이 멀리 보이고

  마산봉 정상에서 본 전경

  마산봉 정상에서 본 전경

  마산봉 정상에서 본 전경

  마산봉 정상에서 본 전경

  마산봉 정상에서 본 전경

  병풍바위로

  등산로

  등산로

  새이령 갈림길

  병풍바위로

  병풍바위

  병풍바위에서 본 마산봉

  병풍바위에서 본 향로봉

  병풍바위에서 본 전경

  병풍바위에서 본 전경

  병풍바위에서 본 전경

  병풍바위에서 본 전경

  병풍바위

  희미한 길을 따라 알바 35분

  전경

  전경

  전경

  다시 빽해서 마산봉으로

  알프스 리조트 0.96km

  알프스 리조트

  들머리겸 날머리

  원위치

  매바위

  매바위

  매바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