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 산행/다

지역명산 [NO.096 충북 제천시] - 눈이 즐거운 동산

by 산물강 2012. 8. 12.
반응형

지역명산 [NO.096 충북 제천시] - 눈이 즐거운 동산

 

 

▣ 충북 제천시  

면적 : 882.47㎢, 2읍 7면 9동의 충청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시

○ 동쪽의 단양군, 강원도 영월군, 서쪽의 충주시, 남쪽의 경북 문경시, 북쪽의 강원도 원주시와 접하고 있다. 

○ 제천 10경 : 의림지, 박달재, 월악산, 청풍문화재단지.호반, 금수산, 송계계곡, 옥순봉, 탁사정, 배론성지

○ 송계리 망계나무(천연기념물 337호)

○ 제천신륵사삼층석탑(보물 1296호), 제천사자빈 신사지 사사자 구층석탑(보물 94호), 제천 덕주사 마애여래입상(보물 406호),

    제천 물태리 석조여래입상(보물 546호), 제천 청풍 한벽루(보물 528호), 제천 장락동 칠층모전석탑(보물 459호) 

○ 청평호 벚꽃축제(4월경)

○ 청풍호 자드락길

○ 목조각 공원, 제천허브랜드, 금월봉 관광지, 청풍랜드, 청풍호, 능강솟대문화공원, 산야초 마을 

관내산 : 등곡산, 대미산, 메밀산, 하설산, 만수봉, 용마산, 북바위산, 월악산, 비봉산, 옥순봉, 가운산, 망덕봉, 금수산, 신선봉, 저승봉, 작은동산, 동산,

                 작성산, 마당재산, 국사봉, 천등산, 삼봉산, 벼락바위봉, 백운산, 시랑산, 주론산, 구학산, 감악산, 무등산, 송학산, 용두산, 칠성봉 

○ 추천산 : 등곡산, 대미산, 메밀산, 하설산, 만수봉, 용마산, 북바위산, 월악산, 비봉산, 옥순봉, 가운산, 망덕봉, 금수산, 신선봉, 저승봉, 작은동산, 동산,

                 작성산, 마당재산, 국사봉, 천등산, 삼봉산, 벼락바위봉, 백운산, 시랑산, 주론산, 구학산, 감악산, 무등산, 송학산, 용두산, 칠성봉

○ 답사한 산 : 월악산, 금수산, 옥순봉, 망덕봉, 감악산, 감악봉, 석기암봉, 수리봉

○ 지역 명산 : 월악산, 금수산 - 100대 명산, 동산 - 조망, 암릉

 

 

▣ 지역 여행 기록

○ 누계 여행 횟수 : 23회(230시군구중 56시군구)

○ 누계 여행 지역 : 경기 양주시, 경기 평택시, 경기 의정부시, 충남 서천군, 전북 고창군, 전북 부안군, 경기 안성시, 전북 익산시, 경기 광명시, 경남 하동군,

                            경기 오산시, 전북 김제시, 서울 강남구, 경남 남해군, 충북 단양군, 서울 마포구, 강원 강릉시, 경기도 남양주시, 경북 안동시, 경북 영천시,

                            경북 군위군, 경북 의성군, 충북 제천시

 누계 이동 거리 : 8,593.4km(누계 14,914.3km)

○ 누계 여행 시간 : 9일 17시간 56분(누계 20일 21시간 46분)

○ 누계 산행 시간 : 4일 04시간 07분(누계 07일 22시간 43분)   

○ 누계 도상 거리 : 168.9km(누계 334.3km)

○ 누계 여행 경비 : 1,603,378원(누계 3,043,363원)

 

 

▣ 특징

○ 동산

충북 제천시 금성면, 청풍면 교리·단양군 적성면 경계에 솟은 동산(東山)은 남근석으로 유명하다. 이 남근석이 동산을 대표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른 두

세 명이 팔로 에둘러야 할 정도의 굵기와 약 3미터 높이의 크기를 자랑하는 남근석은 동산의 생명력과 원천의 상징이기도 하다. 대체로 산세가 가파르나 수려

하며 동산을 지키는 수많은 기암괴석은 노송과 어우러져 운치를 더한다. 동산의 정상은 원래 세 개의 봉우리를 형성하고 있어 삼봉(三峰)이라 불렸다고 한다.

북으로는 작성산(848m), 마당재산(661.2m), 호조산(475.3m)의 산줄기를 이어받아 솟은 동산은 남으로는 금수산(1015.8m)을 빚는다.

 

  동산[성봉]

  동산[중봉] 

  동

 

▣여행 일지 - 31회차 (총 306회차) 여행

○ 여  행  지 : 동산

○ 여행 방법 : 홀로산행

○ 여행 위치 : 충북 제천시 청풍면, 금성면, 단양군 적성면

○ 여행 일시 : 2012년 08월 11일(토) 날씨 맑음

○ 동  행  인 : 홀로

○ 이동 수단 : 자가용 (주행 거리 : 345.2KM)

○ 여행 경비 : 57,709원   

○ 집나간 시간 : 04시 01분 출발, 15시 00분 도착 (10시간 59분)

○ 여행 시간 : 07시 45분 출발, 12시 39분 도착 (4시간 54분)

○ 주요 소요 시간 : 무암계곡 주차장 (07:45) → 남근석 (08:41) → 성봉 (09:50) → 중봉 (10:23) → 동산 (10:38) → 새목재 (11:19) → 무암계곡 주차장 (12:39)

○ 여행 경로 : 무암계곡 주차장 - 촬영장 - 남근석 갈림길 - 남근석 - 성봉 - 중봉 - 새목재 갈림길 - 동산 - 새목재 갈림길 - 새목재 - 소뿔바위 갈림길 -
                     소부도 - 소뿔바위 - 소부도 - 소뿔바위 갈림길 - 촬영장 - 무암계곡 주차장

 

 

○ 도상 거리 : 대충 9.3KM

○ 주요 여행지 : 동산(896.2M), 동산[성봉](824M), 동산[중봉](886M)                      

○ 여행 요점 : 1. 만족도 : ★★★★☆

                     2. 지역여행 56번째 충북 제천시편으로 미답사 지역인 동산으로 결정

                     3. 등산로는 전체적으로 양호하였음 

                     4. 동산 : 정상석 - 있음, 조망 - 하, 등산로 - 양호, 난이도 - 상, 기타 - 정상은 공터에 삼각점, 이정표가 설치되어 있음

                                  (정상에서의 조망 보다는 남근석에서 암릉길의 조망터에서의 조망이 좋음)

                     5. 날씨가 상당히 더워 산행하는데 힘들었음

                     6주차공간 : 무암계곡 주차장, 무암사 주차장

 

▣ 여행 흔적 남기기

1. 동산

오늘 새볔에  런던올림픽 축구 경기가 있는 날이다. 동메달을 걸고 일본과 한 판 승부 꼭 이겨 줄꺼라 믿는다. 라디오 중계를 들으면서 목적지로 향한다. 2대0 우리나라 승리...  대한민국 만세다.  

무암계곡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포장도로를 따라 지루하게 진행하니 촬영장이 나오고 계속 진행... 무암사 표지석이 세워진 들머리가 나온다. 오늘 산행은 남근석으로 올라 새목재로 내려오는 원점회귀 코스로 잡는다. 가파른 길을 올라 남근석에 도착  주변을 둘려본다. 조망이 시원하다.

몇군데의 밧줄구간을 지나 돌탑이 있는 성봉에 도착한다. 별다른 특징이 없는 봉우리다. 중봉으로 향한다. 중봉 또한 사방이 막혀있고 그저그런다. 새목재 갈림길 삼거리에서 동산으로 향한다. 동산에 도착 이른 점심을 해결한다.

왓던 길을 되돌아 삼거리에서 새목재로 향한다. 잡숲이 자란 새목재에서 잠시 갈등이 생긴다. 작성산으로 갈까? 아님 그냥 내려갈까? 하산하기로 결정

내려오다가 소뿔바위를 둘러본 후 오늘 산행을 마감한다. 

 

  개념도

  무암계곡

  무암계곡 주차장

  무암사 가는길

  촬영장

  촬영장

  배바위

  들머리

  임도길이 짧게 이어지고

  전경

  전경

  전경

  전경

  전경

  당겨본 소뿔바위

  나무계단을 올라

  당겨본 청풍호와 무암저수지

  장군바위

  전경

  당겨본 장군바위

  남근석

  남근석

  남근석에서

  남근석에서 본 무암저수지

  남근석에서 본 장군바위

  당겨본 무암저수지와 청풍호

  암릉길

  기암

  전경

  밧줄지대를 지나

  올라와서

  무암사

  무암사와 남근석

  바위지대를 지나

  전경 

  전경

  전경

  전경

  전경

  동산으로

  바위지대를 지나

  성봉 정상모습

  성봉에서

  바위지대를 지나

  전경

  전경

  전경

  육산으로 변하고

  중봉 정상모습

  중봉에서

  무암사 갈림길

  새목재 갈림길

  동산 정상모습

  동산 삼각점

  동산 정상에서

  새목재로 다시 빽하고

  새목재 가는길

  새목재

  하산길

  소뿔바위를 구경하기 위해 작성산 방향으로

  소부도

  소뿔바위

  소뿔바위에서

  소뿔바위에서

  소뿔바위에서 본 전경

  소뿔바위에서 본 전경

  소뿔바위에서 본 전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