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별 산행/하

지역명산 [NO.091 충북 단양군] - 500산 자축 황정산으로

by 산물강 2012. 5. 20.
반응형

지역명산 [NO.091 충북 단양군] - 500산 자축 황정산으로

 

 

▣ 충북 단양군  

면적 : 780.1㎢, 2읍 6면의 충북 북동부에 위치한 군

○ 동쪽의 경북 영주시, 서쪽의 제천시, 남쪽의 경북 예천군, 경북 문경시, 북쪽의 경원도 영월군와 접하고 있다. 

○ 단양 8경 - 도담삼봉, 석문, 구담봉, 옥순봉, 사인암, 하선암, 중선암, 상선암

    단양 제2 팔경 - 북벽, 금수산, 칠성암, 일광굴, 죽령폭포, 온달산성, 구봉팔문, 다리안산

○ 영산리 측백수림(천연기념물 제62호), 소백산 주목군락(천연기념물 제244호), 고수동굴(천연기념물 제256호), 온달동굴(천연기념물 제261호),

    노동동굴(천연기념물 제261호)

단양신라적성비(국보 198호), 향산리 삼층석탑(보물 405호), 초조본대방광불화엄경주본(국보 257호), 대방광불화엄경소(보물 1013호),

    인천안목(보물 1015호), 대방광원각락소주경(보물 1016호), 대방광불화엄경(보물 1017호), 불설아미타경(보물 1050호),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보물 1049호), 묘법연화경삼매참법(보물 1162호), 묘법연화경(보물 1164호)

○ 소백산 철쭉제(5월말경), 금수산 감골단풍축제(10월중순경)

○ 황정산 자연휴양림

○ 볼거리 : 남천계곡, 사동계곡, 새밭계곡, 선암계곡, 천동.다리안 계곡, 온달동굴, 고수동굴, 천동동굴, 다리안관광지, 천동관광지, 온달관광지

○ 관내 산 : 소백산, 도락산, 금수산, 태화산, 구담봉, 옥순봉, 황정산, 제비봉, 계명산, 발목산, 덕절산, 도솔봉, 둥지봉, 만기봉, 묘적봉, 사봉, 삼태산, 석화봉,

                  수리봉, 시루봉, 어래산, 올산, 가창산, 갑산, 마당재산, 맹자산, 작성산, 동산, 국봉, 학강산, 신성봉, 가은산, 용두산, 천계산, 두악봉, 슬읍산,

                  봉우등, 용산봉, 삼봉, 형제봉, 민봉, 신선봉, 국망봉

○ 추천 산 : 소백산, 도락산, 금수산, 태화산, 구담봉, 옥순봉, 황정산, 제비봉, 계명산, 발목산, 덕절산, 도솔봉, 둥지봉, 만기봉, 묘적봉, 사봉, 삼태산, 석화봉,

                  수리봉, 시루봉, 어래산, 올산

○ 답사한 산 : 소백산, 도락산, 금수산, 태화산, 황정산, 영인봉, 석화봉

○ 지역 명산 : 소백산, 도락산, 금수산, 태화산 - 100대 명산, 황정산 - 조망, 암릉, 황정산 - 조망, 암릉

 

 

 

 

▣ 지역 여행 기록

○ 누계 여행 횟수 : 15회(230시군구중 48시군구)

○ 누계 여행 지역 : 경기 양주시, 경기 평택시, 경기 의정부시, 충남 서천군, 전북 고창군, 전북 부안군, 경기 안성시, 전북 익산시, 경기 광명시, 경남 하동군,

                            경기 오산시, 전북 김제시, 서울 강남구, 경남 남해군, 충북 단양군

 누계 이동 거리 : 5,301.1km(누계 11,622km)

○ 누계 여행 시간 : 5일 12시간 21분(누계 16일 16시간 11분)

○ 누계 산행 시간 : 2일 16시간 19분(누계 06일 10시간 55분)   

○ 누계 도상 거리 : 102.1m(누계 267.5km)

○ 누계 여행 경비 : 1,003,220원(누계 2,443,205원)

 

 

▣ 특징

○ 황정산

황정산은 충북 단양군 대강면에 위치한 산으로, 도로를 사이에 두고 유명한 도락산과 마주 보고 있다. 백두대간이 소백산을 지나 죽령에서 가라앉았다가 남쪽

으로 다시 치솟으며 도솔봉(1,314m)과 묘적봉(1,148m)을 빚어낸다. 백두대간이 묘적봉에서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황장봉산(1,077m)으로 뻗어나가기 직전인

수재와 벌재 사이 1,076m봉에서 북으로 가지를 쳐 나간 지능선은 1,080m봉과 수리봉(1,019m)을 일으키고 이어서 빚어 놓은 것이 황정산이다.

황정산을 일으킨 능선은 서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직치에서 가라앉았다가 다시 고도를 높이며 도락산(964m)을 빚어 놓고 북으로 금수산을 향하여 뻗어 나간

능선이 덕절산(780m)과 두악산(732m)을 마지막으로 빚어놓고 그 여맥을 충주호에 가라앉힌다.

이 산에는 천년고찰인 원통암(圓通庵)을 비롯해서 기암괴석으로 이루어진 신단양 8경의 하나인 칠성암, 남근석, 모자(母子)바위, 손가락바위, 누에바위 등 볼

거리가 산 곳곳에 널려있다. 황정산 북동쪽 산자락에 자리잡은 원통암은 고려 공민왕(1351-1374)때 나옹화상이 개창했다고 전해진다. 원통암 옆에는 대석 높

이 7m 위에 높이 15m의 7개 암석이 있다. 4개의 수직 균열이 있어 부처님 손바닥을 닮았다는 칠성암(七星巖)이 있는 꼭대기에는 수령이 3백년은 됨직한 노송

이 한 그루 서 있다.

○ 석화봉

석화봉은 충북 단양의 수리봉과 황정산 사이에 동북 방향의 가지를 치고 그 지능선상에 솟아 있는 산이다. 석화봉을 가운데 두고 북으로 황정산, 동으로 올산

(858m), 남서로 선미봉과 수리봉 암릉이 사방으로 에워싸고 있는 무풍지대다. 형형색색의 기암괴석과 암봉 및 암벽, 암릉, 암굴 등으로 이루어진 신비로운 암

산인 석화봉이란 이름은 시원스레 뻗은 암릉 위로 거대한 화강암 바위가 꽃처럼 피어 있는 형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정상 부근 낙타바위를 비롯해

서 725봉 아래에 보는 이로 하여금 절로 웃음을 짓게하는 째진바위, 궁둥이 바위,백곰바위등이 산행을 즐겁게 하여준다. 산으로 오를수록 암릉길과 슬랩(경

사), 침니코스가 나온다. 정상에서의 조망은 시원하게 터진다.북동쪽으로 도솔봉과 흰봉산이 하늘금을 그리고 동쪽으로는 저수령 방면 백두대간과 그 아래 올

산 마을이 아름답게 펼쳐진다. 북서쪽으로는 암릉을 끌고 나가는 황정산이 우뚝하다.

 

  영인봉

  황정산

  황정산[남봉]

  석화봉

 

▣여행 일지 - 22회차 (총 297회차) 여행

○ 여  행  지 : 영인봉~석화봉

○ 여행 방법 : 홀로산행

○ 여행 위치 : 충북 단양군 대강면

○ 여행 일시 : 2012년 05월 19일(토) 날씨 맑음

○ 동  행  인 : 홀로

○ 이동 수단 : 자가용 (주행 거리 : 404.9KM)

○ 여행 경비 : 75,091원  

○ 집나간 시간 : 04시 36분 출발, 15시 52분 도착 (10시간 16분)

○ 여행 시간 : 07시 10분 출발, 13시 22분 도착 (6시간 12분)

○ 주요 소요 시간 : 대흥사 주차장 (07:10) → 영인봉 (08:36) → 황정산 (09:41) → 석화봉 (11:39) → 석화바위 (12:22) → 대흥사 주차장 (13:22)

○ 여행 경로 : 대흥사 주차장 - 원통암 - 영인봉 - 황정산 - 남봉 - 석화봉 갈림길 - 석화봉 - 석화바위 - 건폭 - 대흥사 주차장

 

 

○ 도상 거리 : 대충 8KM

○ 주요 여행지 : 영인봉(825M), 황정산(959.4M), 황정산[남봉](950M), 석화봉(834M)       

○ 여행 요점 : 1. 만족도 : ★★★☆☆

                     2. 지역여행 48번째 충북 단양군편으로 미답사 지역인 황정산으로 결정

                     3. 등산로는 비교적 양호하엿으나 석화바위에서 건폭으로 내려오는 길은 가파르고 길이 거치었음

                     4. 영인봉 : 정상석 - 없음, 조망 - 상, 등산로 - 양호, 난이도 - 상, 기타 - 정상보다는 옆 바위에서의 조망이 매우 좋음

                     5. 황정산 : 정상석 - 있음, 조망 - 하, 등산로 - 양호, 난이도 - 상, 기타 - 정상보다는 전망터에서의 조망이 좋음

                     6. 석화봉 : 정상석 - 없음, 조망 - 하, 등산로 - 보통, 난이도 - 상, 기타 - 석화바위에서의 조망이 매우 좋음

                     7. 건폭으로 내려오는 길은 등산로 폐쇄구간임

 

▣ 여행 흔적 남기기

1. 황정산

단양군 세번째 여행지 황정산 일부 구간은 암릉구간으로 조심히 산행을 해야 한다. 특히 혼자 산행이라 더욱 신경을 써야한다.

대흥사 주변 도로변에 차를 주차하고 산길로 들어선다. 계곡길 따라 진행하면 나무데크가 나오고 세번째 나무데크를 지나 오르막을 올라 서면 원통암 갈림길에 도착하고 우측 원통암과 칠성암을 둘러보고 왔던 길을 되돌아 영인봉으로 향한다. 영인봉옆 바위에서의 조망이 일품이다. 잠시 바위에 앉아 시간을 보낸 뒤 황정산으로 향한다. 삼거리를 지나 길은 암릉길로 변하고 조심조심 진행하니 누운 소나무가 나오고 황정산 정상에 선다. 주변 나무가지로 조망은 없다. 남봉을 지나 신선봉 갈림길에서 좌측 석화봉으로 향한다. 휴양림 갈림 능선상에 있는 석화봉은 이정표가 없다면 모르고 지나치기 쉽겠다. 석화바위로 방향을 잡고 진행한다. 커다란 바위로 된 석화바위는 밧줄을 잡고 조심히 올라가야 한다. 조망이 일품이다. 그리고 하산을 서두른다.

길은 거칠고 가파른 내리막으로 상당히 좋지 못하다(중고개에서 휴양림으로 내려가는 것이 좋겠다). 미끄럽고 가파른 내리막을 지나 도로에 내려서서 좌측 도로를 따라 내려가니 대흥사가 나오고 이내 원점으로 돌아왔다.

 

  개념도

  사인암

  사인암

  사인암 주변 전경

  사인암 주변 전경

  대흥사 주차장

  등산 안내도

  들머리

  계곡길 따라

  직진

  인공 구조물을 지나

  원통암 갈림길

  원통암

  칠성암

  원통암에서 본 전경

  전경

  전경

  전경

  전경

  전경

  전경

  황정산으로

  영인봉 정상모습

  영인봉에서

  영인봉에서 본 전경

  영인봉에서 본 도락산

  영인봉에서 본 전경

  영인봉에서 본 전경

  영인봉에서 본 전경

  전경

  바위길이 시작되고

  전경

  전경

  황정산으로

  지나온 길

  지나온 길

  올라가고

  내려가고

  전망대

  전경

  전경

  전경

  바위길

  누운 소나무

  누운 소나무에서

  누운 소나무에서

  황정산 정상모습

  황정산 정상에서

  만개한 철쭉

  기차바위?

  남봉에서

  수리봉

  전경

  지나온 남봉

  전경

  전경

  수리봉 갈림길 좌측 석화봉으로

  저 바위를 지나 오고

  석화봉 정상모습

  석화봉에서 본 황정산 모습

  석화봉에서

  좌측으로

  중고개

  중고개 이정표

  석화바위인지 알았다

  전경

  황정산

  황정산

  바위지대를 지나

  석화바위

  석화바위 오르는 길

  석화바위에서 본 전경

  석화바위에서 본 전경

  석화바위

  지나온 길

  당겨 본 석화바위

  전경

  전경

  전경

  전경

  날머리

  날머리

 

                  

반응형